글로벌 위험선호 심리 약화와 달러 실수요 매수세가 더해져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증시 조정 여파로 외국인의 국내 증시 매수세가 둔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강달러 기조에 따른 역외 롱플레이가 환율 상승을 자극할 전망입니다. 다만 수출업체 고점매도와 외환당국의 미세조정 경계가 상단을 제한하며, 1,390원대 초중반에서 등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위험선호 둔화와 달러 매수세로 소폭 상승 예상
오늘 달러/원 환율은 위험선호 심리 약화와 달러 실수요 매수세가 맞물리면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까지 이어진 글로벌 증시 랠리에도 불구하고, 밤사이 뉴욕증시가 연준의 금리 인하 불확실성을 반영하며 완만한 조정을 받은 것이 원인입니다. 이에 따라 국내 증시에서도 외국인의 자금 유입세가 둔화될 가능성이 커졌고, 이는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최근 들어 외국인의 국내 주식 순매수세가 원화 강세를 지탱해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매수세 둔화는 환율 상승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강달러 기조는 여전히 시장에 부담을 주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파운드와 엔화 약세가 심화되면서 글로벌 달러 강세 흐름이 나타났고, 이에 따라 역외 시장에서는 달러/원 환율을 상방으로 베팅하는 롱플레이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단기적으로 환율 상승 압력을 키우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더불어 수입업체의 결제 수요와 해외투자 집행에 따른 환전 수요가 꾸준히 발생하면서, 달러 실수요가 환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분기말과 월말은 기업의 결제 수요가 집중되는 시기인데, 최근 국내 대형 수입업체들의 달러 매수세가 환율 하락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기적인 원화 강세 흐름을 제약하면서 환율이 상승세로 전환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환율 상단에는 제약 요인도 존재합니다. 수출업체는 1,390원대에서 기계적으로 매도 대응에 나서고 있어 환율이 일정 수준 이상 올라가는 것을 막고 있습니다. 특히 대형 중공업체의 환헤지 수요는 고점에서 환율 상승세를 억누르는 핵심적인 방어선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환당국의 미세조정 경계감 역시 시장 참여자들의 롱심리 과열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오늘 장에서는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환율은 강보합권에서 등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대체로 1,390원대 초중반에서 거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며, 상방 압력이 다소 우세하겠지만 상단은 제한된 흐름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위안화 강세와 외국인 주식 매수세에 하락 마감
전일 달러/원 환율은 1,385원에 출발했으나 장 초반 달러 강세 기조를 반영해 1,388원까지 오르며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상승 흐름은 오래가지 못했습니다. 오후 들어 중국 위안화가 강세로 전환되면서 아시아 통화 전반에 강세 흐름이 퍼졌고, 이에 원화 역시 동조화 흐름을 보이며 환율 하락 압력을 받았습니다.
또한 국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의 순매수세가 확인되면서 원화 강세 요인이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대형 수출업체들의 네고 물량이 상단에서 집중적으로 출회되면서 환율 상승세는 꺾였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되면서 달러/원 환율은 장중 반락하여 1,384.7원에 마감, 전일 대비 8.5원 하락했습니다.
다만 환율 하락 폭은 제한적이었습니다. 장중 수입업체의 결제 수요가 꾸준히 유입되면서 환율의 추가 하락을 방어했기 때문입니다. 최근 수입업체는 환율 레벨과 무관하게 달러 매수 전략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는 하방 압력을 제한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결국 전일 환율은 글로벌 달러 강세에도 불구하고 아시아 통화 강세와 외국인 매수세에 밀려 하락세를 보였지만, 수입업체 매수세 덕분에 낙폭은 제한되는 흐름을 나타냈습니다.
프랑스 정국 불안과 금리 인하 불확실성 속 달러 강세
글로벌 외환시장에서는 달러화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달러지수는 98.214를 기록하며 소폭 상승했는데, 이는 프랑스 정국 불안과 연준 금리 인하 속도조절 가능성이 시장에 반영된 결과입니다. 프랑수아 바이루 프랑스 총리가 내년도 예산안을 발표하면서 정부 예산 절감과 세금 인상을 추진했으나, 이에 대한 반발 여론이 확산되었습니다. 야당은 정부 불신임 투표에 나서겠다고 선언했고, 총리는 9월 8일 의회에서 신임 투표를 강행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로 인해 프랑스 국채 매도세가 출회되며 유로화 가치는 달러 대비 약세를 보였습니다.
또한 금리 인하 속도조절 가능성이 제기된 점도 달러화 강세를 이끌었습니다. 최근 잭슨홀 심포지엄 이후 달러가 약세를 보였지만, 파월 의장이 물가 상승 우려를 강조했던 점을 고려할 때 연준이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는 달러에 대한 반발매수세를 유입시키며 달러 가치를 지지했습니다. 이번 주 후반 발표될 미국 PCE 물가지수에 대한 경계심 역시 달러 강세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시장은 여전히 물가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 경로가 연준 정책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달러의 변동성 확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